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나르시즘(narcism)은 현대에서 많이 논의되는 심리적 특성으로, 개인의 자아가 과도하게 강조되고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한다.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중의 존경(public esteem)을 갈망하며, 이 과정에서 진정한 자존감(self esteem)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우월성(superiority)을 증명하려고 한다.

     

    나르시즘에 빠진 페르시안 고양이

    나르시시스트(narcissist)의 심리적 특성

     

    나르시시스트는 자기애가 매우 강한 인물로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타인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대화의 중심이 되고 싶어 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과장하거나(exaggerate) 왜곡하여(distort) 타인의 관심을 관심을 끌려고 한다(social approval from others). 자기중심적 태도는 종종 불편함을 초래하고, 대인 관계에서 갈등(conflict)을 유발하게 된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고통이나 필요에 대해 무관심하며, 자신의 이익이나 욕구에만 집중한다. 그들의 공감(empathy) 부족은 대인 관계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타인에 상처를 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자신의 성취(performance)나 외모(apprearance)를 강조하며, 타인에게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들은 종종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과시하고 ,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행동은 외부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대중의 존경(public esteem)을 추구하는 이유

     

    나르시시스트는 외부의 인정이 자신의 가치 확인의 중요한 척도라고 생각한다. 대중의 존경(being admired)을 통해 자신이 특별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 하며, 이는 자신감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이들은 내면에 깊은 불안감(anxiety)이나 열등감(inferiority)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대중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하려 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타인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서기 위해 경쟁하고, 우월성을 증명하여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강화하고자 한다.

    결국 나르시시스트는 대중의 존경을 통해 자신을 더욱 특별하게 느끼고 , 이를 통해 내면의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있다.

     

    자존감과 우월성의 본질적 차이

     

    자존감(self esteem)과 우월성(superiority)이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 본질적으로는 큰 차이가 보인다. 자존감은 개인 자신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는데 중점을 둔다. 그러나 우월성은 외부의 인정을 필요로 하며, 이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가치를 외부의 인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자존감은 개인의 내면에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실패나 비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가치를 잃지 않는다. 반면, 우월성은 외부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일시적인 만족감을 가져온다. 나르시시스트는 외부의 인정을 받지 못할 경우 심한 불안감을 느끼고, 자존감이 급격히 하락할 수 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건강한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존중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의 의견과 감정을 소중히 여기고 , 대인 관계에서 신뢰를 쌓아간다. 그러나 우월성을 추구하는 나르시시스트는 타인을 이용하거나 착취할 가능성이 높아, 관계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을 경쟁자로 간주하며, 결국에는 고립된 삶을 살게 된다.

     

    나르시시스트는 대중의 존경을 통해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내면의 불안감과 열등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용하며, 진정한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반응형